Page 20 - HRDK동향 Vol.109
P. 20

HRD TRENDS & ISSUES MAGAZINE · 2025                                                                                         연구 inside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및 직업훈련
          2025 Global Human Capital Trends
                                                                                                                                      교·강사 실태조사 심층분석 및 활성화 모델 연구




              Deloitte, 2025년 3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25년 2월      김우철, 우혜정, 김지영, 조현안준기, 오진욱
              QR코드를 스캔 OR 클릭하면 2025 Global Human Capital Trends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R코드를 스캔 OR 클릭하면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및 직업훈련 교·강사 실태조사 심층분석 및 활성화 모델 연구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내용                                                                                                                         주요내용
                                       • 조직과 근로자 간 긴장(갈등) 탐색 및 전략 제시              • 조직의 변화 수용 방법                                                                    •  직업능력개발 훈련교·강사 실태분석                   •  역량개발 관점 정책 과제 도출

                                       • 인공지능 기술이 업무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직업능력개발 훈련교·강사 관련 정책분석




                                       주요목차                                                                                                                         주요목차

                                       •  일의 균형 잡힌 긴장 상태                                                                                                            •  직업능력개발훈련 관련 정책 및 연구 현황             •  직업능력개발 훈련교·강사 역량에 따른
                                       •  인력의 균형 잡힌 긴장 상태                                                                                                           •  직업능력개발 훈련교·강사 교육요구도 분석              잠재프로파일 및 특성 분석
                                       •  조직 및 문화의 균형 잡힌 긴장 상태                                                                                                      •  직업능력개발 훈련교·강사 실태조사 요인분석             •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관련 심층분석






          직업훈련기관 전문경영역량 고도화 및
                                                                                                                                      제26차(2023)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24년 2월      이철기, 김동태, 엄기용, 신재은, 이수진                                                                            한국노동연구원, 2024년 12월     이경희, 이지은, 신선옥, 정현상, 권익성
              QR코드를 스캔 OR 클릭하면 직업훈련기관 전문경영역량 고도화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R코드를 스캔 OR 클릭하면 제26차(2023)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내용                                                                                                                         주요내용

                                       • 직업훈련기관 경영 역량 강화                     • 인적자원 및 마케팅 관리                                                                        •  한국노동패널조사 개요                          •  취업자 및 실업자 비중 등 경제활동 상태
                                       •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전문성 제고 연구                                                                                                      •  가구 총소득, 월평균 생활비 및 저축 등 가계경제 추이       •  평균근로시간, 임금 주기 등 임금근로자의 특성



                                       주요목차
                                       •  직업훈련정책 동향 및 직훈기관 경영역량 분석                                                                                                  주요목차
                                       •  국내 및 해외 직업훈련기관 역량 및 교육 관련 문헌 고찰                                                                                           •  한국노동패널 제26차 조사의 개요                 • 임금근로자 및 비임금근로자의 특성
                                       •  직업훈련기관 경영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 조사가구의 특성                             • 경제활동 상태의 동태적 변화

                                       •  직업훈련기관 경영역량 진단도구 개선                                                                                                       • 가계경제, 개인의 경제활동 상태                    • 26차 건강 부가조사 결과 분석







                                                              20 20                                                                                                                        21 21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