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HRDK동향 Vol.109
P. 16
컬처핏 확인을 통해 기대하는것
ഥࢎ
ࢲܨ
সޖ ࢿҗ
ӝস ࠺җ
ର
୭ઙ
߹ب ஸ
ઑ ߂ সޖী
ഈস ೱ࢚
хࣗ
ೠ ࡅܲ
ݶীࢲ
ݶীࢲ
ಣо ױ҅
ೱ࢚
ઑޙചਬ
ഋীࢲ
컬처핏을 평가하기 위해 활용하는 방법
기준 : 컬처핏을 확인하는 기업(236개), 단위 %
ӝળ ҳࢿਗҗ ܫ ੌೞח ੋഛࠁ 기준 : 컬처핏을 확인하는 기업(236개), 단위 % 채용 과정에서 컬처핏을 평가하는 단계 기준 : 컬처핏을 확인하는 기업(236개), 단위 %
HRD 현장 HRD TRENDS & ISSUES MAGAZINE · 2025
ੋࢿ पޖ ӝ ਗ ۱ࢲ ҃۱ ߂ ಣ౸ ੋఢ ࢎҗઁ ӝఋ
Ѩࢎ ݶ ࣗѐࢲ ݶ ഝز ղਊ ١ ઑഥ җ ࠗৈಣо
컬처핏 평가 도입 전과 후 비교 기준 : 컬처핏을 확인하는 기업(236개), 단위 % 컬처핏 평가 도입 후 신입직원 퇴사 사유 변화 (조직문화 적응 관련) 취업에 유리한 자격증 따로 있다!
(매우 증가+증가비율)
2025년 3월 20일, 고용노동부 QR코드를 스캔 OR 클릭하면 “ 취업에 유리한 자격증 따로 있다!”!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전기산업기사·산림기능사·산업위생관리기사 취득 시 1년 이내 취업률 70% 이상
ઑ Ӕࣘӝр ഈস ղ т١ সޖࢿҗ ޖ ઑ ઑ Ӕࣘӝр ഈস সޖࢿҗ ޖ ઑ
ࣘب ߊࢤ ࠼ب ށੑب ށੑب ࣘب ށੑب ށੑب
- 기사 등급 자격증 취득자 1년 이내 58.9%가 취업 성공
❖ 취업지원 및 졸업생 특화 프로그램, 기업별 조직문화 파악에 도움 직원이 조직 문화‧가치에 잘 적응하도록 돕는 온보딩 설계 등을 지원하기
고용노동부(장관 김문수)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이우영)은 고용경쟁력 강화를 정도(47.5%)가 1년 이내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격취득자와 미취득자의
위한 컨설팅*을 하고 있고, 올해는 중소기업 채용관리솔루션(ATS)**
위해 취업에 유리한 국가기술자격을 분석*해 공개했다. 취업률 차이는 7.9%p이며, 취업자 1만명 이상 기준으로 기사 등급의 취업률이 가장
기업마다 요구하는 인재상이나 기업의 조직문화가 다르기 때문에 구직자들이 지원사업을 통해 기업이 적합한 인재를 공정하게 채용할 수 있는 기반을
* 2023년 국가기술자격 취득자의 2024년 고용상태를 건강·고용보험 가입 여부 분석 높았고(58.9%), 산업기사 등급(56.2%), 서비스 분야(47.3%), 기능사 등급(44.1%)
혼자 다양한 기업의 정보를 파악하고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마련하고 있다.
순이다. 가장 많이 취득하는 국가기술자격은 컴퓨터활용능력, 지게차운전기능사,
돕기 위해, 고용노동부는 올해 시작된 「한국형 청년 취업지원 보장제」로 * 맞춤형 인재 채용을 위한 효과적 채용제도 설계, 채용과정 통합관리 등에 관심이 있는 국가기술자격이 취업에 도움이 될까요?
산업안전기사, 굴착기운전기능사, 전기기능사 순이다.
전국 121개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에서 졸업생 약 5만명에게 1:1 상담과 20인 이상 사업장 대상 지원
국가기술자격 취득자(74만 명, 2023년 취득) 중 미취업자(44.5만명, 60.1%)의 절반
맞춤형 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졸업생 프로그램에서는 기업별 ** AI 등을 통한 채용업무 프로세스 전산화 시스템(Applicant Tracking System)
채용공고 분석에 기반해 이력서 첨삭·모의면접을 지원하거나, 목표기업의 ┕ (주요기능) 채용홈페이지/채용공고문 제작 지원(채용절차법 등 채용 관련 법 필터링
등), 지원서 관리, 채용일정 관리·안내(서류 접수 통지, 합격/불합격 통지, 불합격 사유
현직자와 만나는 멘토링 과정을 운영한다. 이외에 지역 거점 48개
피드백) 등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도 구직자 도약보장패키지**를 운영하고 있다.
* 전국 121개 대학에 설치된 취업지원센터로, 청년이면 누구나 서비스 받을 수 있음
** AI기반 잡케어(Job Care)로 개인의 직무역량을 진단하고 경력설계·유지·전환 등에 이상돈 사람인 컨설팅사업부문장은 “컬처핏 확인을 통해 온보딩이 가능한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패키지로 지원 인재를 뽑는 것은 퇴사율을 낮추고 핵심 인재의 장기근속으로 이어져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라면서 “구직자들이 기업 문화를 잘 취득인원 1,000명 이하 200명 초과인 종목은 에너지관리산업기사(79.4%)와
취업률 높은 국가기술자격 TOP 3
대학 졸업생 반○연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에서 제공하는 졸업생 이해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기업의 조직문화를 홍보할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76.9%)의 취업률이 높았고, 취득인원이 200명 이하인 종목
1위 전기산업기사(73.9%) 2위 산림기능사(71.9%) 3위 산업위생관리기사(71.5%) 중에서는 승강기기사(82.1%) 및 생산자동화산업기사(81.1%)의 취업률이 높게
특화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지원기업 및 직무 분석 특강을 통해 기업의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미취업자 기준으로 취득인원이 1,000명 초과한 자격 중 취업률이 가장 높은 종목은 나타났다. 이처럼 국민들이 선호하는 자격과 취업률이 높은 자격에 차이가 있었으며,
인재상과 직무 적합성을 살펴보고, 지원기업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전기산업기사(73.9%), 산림기능사(71.9%), 산업위생관리기사(71.5%)로 나타났다. 직종규모에 따라 취업 경쟁력이 높은 자격 또한 달리 나타났다.
원하는 기업에 입사할 수 있었다.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공정한 절차를 통해 적재적소에 인재를 배치하는
* 맞춤형 희망 채용공고 분석 및 입사지원서 피드백 등 주제로 운영 것은 모든 조직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문제다. 치열한 경쟁 속에 기업은
연령별, 성별에 따라 유망한 자격증도 다릅니다
자신의 조직에 맞는 인재를 채용해서 실무에 바로 투입하기 위해 발 빠르게
담당 컨설턴트 정다운은 “요즘 청년들이 자신의 경험을 스토링텔링하는 것을 움직이고 있다. 청년들이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에 맞추어 입사 준비를 할 수 1,000명을 초과한 미취업자가 취득한 자격 기준으로 연령별, 성별에 따라 취업률이 높은 자격 또한 차이가 있었다
어려워한다. 그래서 1:1 집중 상담을 통해 그들의 경험과 성향을 확인하고 있도록 1:1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채용관리솔루션 지원을 통해 공정채용
입사지원서, 자기소개서, 직무기술서 등을 작성할 때 기업과의 적합성을 문화가 안착될 수 있도록 더욱 힘쓰겠다”라고 밝히며 “아울러, 3월 19 ~20일
어떻게 잘 보여줄 수 있을지 클리닉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개최되는 「2025 대한민국 채용박람회」에서 기업과 청년의 성장을 돕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나보시길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연령별로 취업률이 높은 자격증을 살펴보면, 청년층(19~34세)은 기계정 순이고, 고령층(55세 이상)은 전기기능사(58.1%), 한식조리기능사
❖ 기업도 핵심가치와 조직문화 공개·공유를 통해 우수인재 영입 전략 필요
비산업기사(67.5%), 전기산업기사(64.3%), 산업위생관리기사(61.2%) (54.3%), 조경기능사(50.3%) 순으로 나타났다.
채용 자체가 기업의 홍보활동이 되는 채용브랜딩이 대두되면서 기업들도
조직문화를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기업 홈페이지에
인재상과 핵심 가치, 조직의 비전을 게시하는 것은 물론, 누리소통망(SNS)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하여 그 기업이 일하는 방식과 문화를 널리 알리려고 한다. 성별로 분석해 보면, 남성 취득자의 취업률이 높은 자격은 기계정비산업기사(67.0%), 있어, 많이 취득하는 자격과 취업이 잘 되는 자격에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이번 분석
이와 같은 투명한 정보 공개를 통해 기업에 적합한 인재의 지원을 유도하고 전기산업기사(66.9%), 공조냉동기계기능사(57.9%) 순이고, 여성은 결과는 취업을 목적으로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하는 구직자들이 취업에 유리한 자격을
채용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웹디자인기능사(57.8%), 컴퓨터활용능력2급(53.3%), 직업상담사2급(51.5%) 자격의 선택하여 취업 경쟁력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고용노동부는 앞으로도
취업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성별 분석결과 집단별 선호하는 자격과 취업률이 국가기술자격 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해 국가기술자격이 직업능력개발과 국가 경쟁력
이에 고용노동부는 기업의 채용 단계별 직무분석, 채용브랜딩 구축, 신규 높은 자격이 달라 개별 특성에 맞는 취업전략이 필요하다.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고용노동부 임영미 직업능력정책국장은 “국민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자격을 취득하고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