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 - HRDK동향 Vol.87
P. 18
18 고용 BRIEF HRD TRENDS & ISSUES MAGAZINE HRD · 2023 19
2023년 4월 고용동향 이달의 키워드 & HRD 생생정보
2023년 5월 10일, 고용노동부 이달의 키워드(워드클라우드)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아이콘 및 제목을 클릭하면 2023년 3월 고용동향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3년 HRD동향 6월호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4월 고용지표는 양호한 흐름 지속, 본격적인 일상회복에 ▪ 특히 여성‧고령층 경제활동참가율의 높은 증가세 지속
따른 대면활동 증가와 기저영향 등으로 전월대비 취업자 ▪ 실업률(2.8%)은 0.2%p 하락, 4월 기준 역대 최저 수준
수 증가폭 확대 ▪ 취업자 수는 +35.4만명 증가, 실업자 수는 △5.9만명 감소(25개월
▪ 15세 이상 고용률(+0.6%p)과 15~64세 고용률(+0.6%p) 동반 상승, 연속 감소)
4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 ▪ 전월대비 취업자 수(계절조정)는 3개월만에 감소(△4.7만명) 현장 청년 자격
6월호에는 국민과 함께하는 규제혁신, 국민취업지원제도 홍보
인구 및 취업자 증감(천명) | 고용률(15~64세) 및 증감(%, %p)
에 국민참여 확대, 미래직업 체험 등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 및 사업이 소개되었다. 또한 청년 4다리 정책,
인구 증감 취업자 증감 증감(우축) 고용률(15~64세)
1200 1.135 72.0 5.0
해외취업 희망 청년 대상 원스톱 지원 서비스, 청년 일경험 기회
1.037 4.5
1000 935 70.0 69.0 4.0
865 68.4
831 841 826 807 확대 등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었다.
773 3.5 HRD동향 4월호 워드클라우드
800 68.0
707 66.2
652 671 652 677 3.0
619 626 2.7 2.6
582
600 542 518 553 66.0 2.1 2.2 2.3 2.5
509 2.0
469 2.0 2.0 2.0
411 1.7 1.6 1.5 2.0
400 354 64.0 1.5 1.4
312 1.2 1.5
1.1 1.1 1.2 1.1 1.0 1.2
0.8 0.9 0.4 1.0
200 62.0 0.6
0.5 HRD 생생정보
0 60.0 0.0
4 5 6 7 8 9 10 11 12 22.1 2 3 4 5 6 7 8 9 10 11 12 23.1 2 3 4 4 5 6 7 8 9 10 11 12 22.1 2 3 4 5 6 7 8 9 10 11 12 23.1 2 3 4
대면활동 재개 및 소비・관광 회복 등에 따른 서비스업 중심 ▪ (청년층) 고용률(46.0%)은 전년 동월대비 하락했으나 4월 기준 2위(’00
취업자수 증가 + 제조업 경기둔화 영향으로 취업자수 감소 지속 년 이후), 실업률(6.4%)은 4월 기준 역대 최저로 여전히 양호한 수준
▪(제조업) 기저효과 및 IT 부문 중심의 경기부진 등으로 4개월 연속 감소 상용직, 전일제(36시간 이상) 중심 증가, 임시직·일시휴직자 감소
▪ (서비스업) 대면활동 정상화에 따른 소비‧관광 등 내수 회복, 간호‧돌봄 수 ▪ (지위별) 상용직 중심으로 증가 지속, 임시직은 감소세 유지, 일용직도 감소 전환
요 증가 등으로 숙박음식업・보건복지업 중심 증가 지속 - 고용원有 자영업 지속 증가, 고용원無 자영업도 증가
▪ 농림・건설업) 농림어업 취업자수는 2개월 연속 증가했으나 증가폭 축소, 건설 ▪(시간별) 전일제(36시간 이상) 근로자 증가 지속, 증가폭은 감소
업은 건설수주 감소 등과 함께 감소 지속 고용지표는 견조한 흐름, 향후에도 취업자수 증가폭은 크게
일·육아 병행 여건 개선, 인구영향 등으로 여성・고령층 중심 둔화되지 않을 전망, but IT 부문 중심의 제조업 경기부진 등
취업자 증가 지속, 청년층은 기저효과・인구감소 등으로 감소 불확실성도 상존
▪ (여성) 일·육아 병행 여건 개선 등으로 취업자수 +34.5만명 증가, 전체 취업 ▪ 4월까지 고용지표는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당초 전망(’22.12월)*을
자수 증가의 97.5% 차지 상회하며 견조한 흐름 유지
▪ (고령층) 인구 증가 및 경제활동참가 확대 등으로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세 ▪ 향후 내수·서비스업 회복세가 지속되며 고용률・실업률은 안정적
지속(26개월 연속) 흐름 유지 전망
고용동향 면밀 모니터링 +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 등 민간 중심 고용창출 지원
① 「일자리 전담반(TF)」 중심으로 고용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일자리 사업 조기 집행 등 고용 불확실성에 대비하여 선제 대응
②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추진하고, 경제활력 회복 노력 및 일자리 미스매치 완화 등 민간 중심 고용창출 지원도 지속
③ 청년이 체감하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미래유망분야 규제혁신, 청년창업 활성화 등을 통한 민간기업 중심의 양질의
일자리 확대에 주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