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HRDK동향 Vol.89
P. 19
18 고용 BRIEF HRD TRENDS & ISSUES MAGAZINE HRD · 2023 19
2023년 6월 고용동향 이달의 키워드 & HRD 생생정보
고용노동부, 2023. 7. 12 이달의 키워드(워드클라우드) 2023년 HRD동향 8월호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아이콘 및 제목을 클릭하면 2023년 6월 고용동향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용률(63.5%)・경제활동참가율(65.3%)은 6월 역대 최고, ▪ 실업자수는 전년대비 △8.1만명 감소(27개월 연속), 실업률은
실업률(2.7%)은 6월 역대 최저 △0.3%p 하락하여 6월 기준 역대 최저 수준
▪ 15세 이상 고용률(+0.6%p)·15~64세 고용률(+0.8%p)은 동반 상승 ▪ 취업자수는 작년 기저(’22.6월 84.1만명)에도 불구, 전년대비 +33.3
하며 6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 만명 증가 HRD 현장 직업훈련
▪ 경제활동참가율은 28개월 연속 상승(+0.4%p)하며 6월 기준 역대 ▪ 전월대비 취업자수(계절조정)는 감소 전환(△4.9만명)
최고 수준
8월호에는 HRD 현장을 위한 다양한 정책 및 현장 동향이 나타났다.
특히 전국 13개 대학에서 70개 신규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 운영을
인구 및 취업자 증감(천명) | 고용률(15~64세) 및 증감(%, %p)
시작했으며,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2차 빈일자리 해소방안이 발표
인구 증감 취업자 증감 증감(우축) 고용률(15~64세) 되었다. 또한 재직자 내일배움카드 발급 절차를 간소화하고, 폴리텍
1200 1.135 72.0 5.0
1.037 69.9 4.5 대학은 35개 캠퍼스 인프라를 개방하여 체험학습과 기술교육 등을
1000 935 70.0 69.1 4.0
865
831 841 826 807 3.5 HRD동향 8월호 워드클라우드 지원하는 ‘꿈드림공작소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800 773 707 68.0 67.1
671 652 677 3.0
626 2.6
582 2.7
600 542 518 553 509 66.0 2.1 2.2 2.3 2.5
469 2.0 2.0 2.0 2.0
411 1.5 1.4 1.7 1.6 1.5 2.0
400 312 354 351 333 64.0 HRD 생생정보
1.2 1.2 1.5
1.2 1.1 1.0
0.8 0.9
200 62.0 0.6 0.4 0.7 0.8 1.0
0.5
0 60.0 0.0
21.6 7 8 9 10 11 12 22.1 2 3 4 5 6 7 8 9 10 11 12 23.1 2 3 4 5 6 21.6 7 8 9 10 11 12 22.1 2 3 4 5 6 7 8 9 10 11 12 23.1 2 3 4 5 6
서비스업은 돌봄수요 증가 및 대면활동 확대에 따라 취업자수 증가 상용직, 전일제(36시간 이상) 중심 취업자수 증가
+ 제조업 및 건설업은 취업자수 감소 ▪ (지위별) 상용직 중심(전체 취업자수 증가 대비 164%)으로
▪ (서비스업) 돌봄수요 확대 및 일상회복에 따라 보건복지업·대면서비스업 증가 지속, 임시직은 13개월 연속 감소, 일용직도 감소세 유지
중심으로 고용 증가 지속 - 고용원有 자영업자(19개월 연속), 고용원無 자영업자 모두 증가
▪ (제조업) 수출감소 및 생산부진 지속, 기저효과(‘22.6월 +15.8만명) 등 ▪ (시간별) 전일제(36시간 이상) 취업자수는 증가폭 확대
으로 취업자수는 6개월 연속 감소 30대·60대 여성 중심 취업자수 증가
▪ (건설업) 취업자수는 기저효과(‘22.6월 +5.0만명) 및 부동산 경기부진, ▪ (남성) 남성 취업자수 증가폭 축소는 건설업·제조업 등 남성 근로자
旣수주물량 착공 지연 등으로 7개월 연속 감소 비중이 높은 업종 중심의 취업자수 감소에 기인
▪ (농림어업) 작년 기저효과(‘22.6월 +8.9만명) 및 방역해제조치에 ▪ (여성) 여성 취업자 비중이 높은 보건복지업 수요 증가, 결혼·출산
따른 귀농·귀어인구 감소 등으로 취업자수 감소세 지속 연령 상향 등으로 30대, 60대 중심으로 취업자수 증가(+33.2만명)
인구영향 등으로 고령층 중심 취업자 증가, 청년층 감소 하반기에도 서비스업 중심의 견조한 고용흐름 지속 전망
▪ (고령층) 경제활동참가 확대 등으로 취업자수 증가세 지속(29개월 연속) ▪ 하반기에도 대면활동・돌봄수요 증가 등에 따라 대면서비스업 및
▪ (청년층) 청년 고용률(47.0%)은 6월 기준 역대(‘82.7월 이후) 2위, 보건복지업 등을 중심으로 고용률・실업률은 견조한 흐름 지속 전망
실업률(6.3%)은 6월 기준 역대(’99.6월 이후) 2위 수준 ▪ 다만, 제조업·건설업 고용 둔화 및 방역해제조치에 따른 방역인력
감소 등으로 취업자수 증가폭은 점차 축소될 전망
고용동향 모니터링 +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 등 민간 중심 고용창출 지원
① 「일자리 전담반(TF)」 중심으로 고용동향을 지속 점검하는 한편, 고용 불확실성에는 선제적으로 대응
▪「제2차 빈일자리 해소방안」(7.12일) 마련 등 정책노력 지속중▪’빈일자리 현장 점검반‘을 통해 현장 애로사항 적극 청취 및 밀접 지원
② 「하반기 경제정책방향」(7.4일) 적극 추진 등 경제활력 회복 노력 및 양질의 민간 일자리 창출 병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