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HRDK동향 Vol.90
P. 19

18  고용 BRIEF  HRD TRENDS & ISSUES MAGAZINE                                                        HRD · 2023       19




 2023년 7월 고용동향            이달의 키워드 & HRD 생생정보





 고용노동부, 2023. 8. 9           이달의 키워드(워드클라우드)
                                                                          2023년 HRD동향 8월호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아이콘 및 제목을 클릭하면 2023년 7월 고용동향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용률(63.2%)・경제활동참가율(65.0%)은 7월 역대 최고,   최고 수준
 실업률(2.7%)은 7월 역대 최저  ▪ 실업자수는 전년대비 △3.0만명 감소(28개월 연속), 실업률은
 ▪ 15세 이상 고용률(63.2%, +0.3%p)·15~64세 고용률(69.6%,   △0.2%p 하락하여 7월 기준 역대 최저 수준
 +0.5%p)은 동반 상승하며 7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  ▪ 취업자수는 전년대비 +21.1만명 증가, 전월대비 취업자수(계절
                                                                             현장              NCS            맞춤형
 ▪ 경제활동참가율은 29개월 연속 상승(+0.2%p)하며 7월 기준 역대   조정)는 감소폭 확대(△9.6만명)

 인구 및 취업자 증감(천명) | 고용률(15~64세) 및 증감(%, %p)                                 9월호에는 HRD 현장을 위한 각종 맞춤형 제도 및 정책

                                                                           들이 많이 소개되었다. NCS기반의 직무능력은행
 인구 증감  취업자 증감  증감(우축)  고용률(15~64세)
 1200  1.135  72.0  5.0                                                    서비스, 기업·구직자 도약보장패키지 본사업 등 수요자
 1.037  4.5
 69.6
 1000  935  70.0  69.1  4.0                                                맞춤형 정책이 시행되었다. 또한 대한민국명장 선정,
 865
 831  841826 807
 773  3.5
 800  707  68.0  67.1                                                      기업 맞춤형 국가기간 전략산업직종 훈련과정 선정,
 671 652  677  3.0
 626  2.7  2.6
 600  542 518  553  66.0  2.2  2.3  2.5
 509  2.0  2.1  2.0 2.0 2.0
 469                                                                       NCS개발개선(안) 대국민 사전공지 등 HRD현장에 새
 411  1.5 1.4  1.7 1.6 1.5  2.0
 400  354  351 333  64.0
 312  1.2  1.5
 1.1 1.0  1.2
 211  0.8  0.9                                                             바람을 불러 일으킬 다양한 제도 및 소식 등이 전달
 200  62.0  0.6  0.4 0.7 0.8  0.5  1.0
 0.5
                                                                           되었다.
 0  60.0  0.0                      HRD동향 9월호 워드클라우드
 21.7  8  9 10 11 12 22.1 2 3  4  5 6  7 8  9 10 11 12 23.1 2 3 4  5 6 7  21.7  8 9 10 11 12 22.1 2 3 4  5  6  7 8 9 10 11 12 23.1 2 3  4 5 6 7
 서비스업은 돌봄수요 증가 및 대면활동 확대에 따라 취업자수 증가   지속, 임시직은 14개월 연속 감소, 일용직은 감소폭 확대
 + 제조업 및 건설업은 취업자수 감소    - 고용원有 자영업자(20개월 연속), 고용원無 자영업자 모두 증가  HRD 생생정보
 ▪ (서비스업) 돌봄수요 확대 등에 따라 대면서비스업 및 보건복지업 중심  ▪(시간별) 전일제(36시간 이상) 취업자수는 감소 전환
 으로 취업자수 증가세 지속  여성 경제활동 참가 확대 등으로 여성 취업자수 증가
 ▪ (제조업) 반도체·석유제품·선박 등 수출감소 및 생산부진 지속, 기저효과  ▪ (남성) 남성 근로자 비중이 높은 건설업·제조업 취업자수 감소 →
 (‘22.7월 +17.6만명) 등으로 취업자수는 감소폭 확대  남성 취업자수 증감은 감소로 전환
 ▪ (건설·농림어업) 건설 경기부진 및 경활 조사대상기간(7.9일~7.15일)   ▪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확대 및 보건복지업 고용확대 등으로 여성
 기상악화 등으로 건설업·농림어업 취업자수 감소세 지속  취업자수는 29개월 연속 증가(+24.6만명)
 인구영향 등으로 고령층 중심 취업자 증가, 청년층 감소  향후 대면서비스업·보건복지업 등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고용
 ▪(고령층) 경제활동참가 확대 등으로 취업자수 증가세 지속(29개월 연속)  률・실업률은 견조한 흐름 지속 전망
 ▪ (청년층) 청년 고용률(47.0%)은 7월 기준 역대(‘82.7월 이후) 3위,   ▪ 다만, 건설업·제조업 고용둔화 영향 등으로 취업자수 증가폭은 점차
 실업률(6.0%)은 7월 기준 역대(’99.6월 이후) 최저  축소 예상
 상용직 중심 취업자수 증가 지속 + 임시일용직은 감소폭 확대  ▪ 특히, 8월 기상악화(폭염·태풍) 등은 건설업·농림어업의 취업자수
 ▪ (지위별) 상용직 중심(전체 취업자수 증가 대비 243%)으로 증가   증가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고용동향 모니터링 +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 등 민간 중심 고용창출 지원

 ① 「일자리 전담반(TF)」 중심으로 고용동향을 지속 점검하는 한편, 고용 불확실성에 선제적으로 대응
 ▪청년층 고용동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함께 청년 쉬었음 증가 대응을 위한 분석 및 정책대응 방향 점검
 ▪지역 및 산업현장에서의 지역 빈일자리 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빈일자리 현장 점검반’을 통해 현장 애로사항 적극 청취
 ② 「하반기 경제정책방향」(7.4) 정책과제 이행, 수출・투자 활성화를 통한 경제활력 회복 노력 및 양질의 민간 일자리 창출 지속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