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HRDK동향 Vol.91
P. 21

20  연구 INSIDE  HRD TRENDS & ISSUES MAGAZINE                                                       HRD · 2023       21


 아프리카 직업기술교육 3단계 사업(BEAR Ⅲ)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고도화 방안 연구
 수행방안 연구



 2023년 6월,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3년 7월,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김철희, 최다희     문한나, 박상오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아이콘 및 제목을 클릭하면 아프리카 직업기술교육 3단계 사업(BEAR Ⅲ) 수행방안 연구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아이콘 및 제목을 클릭하면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고도화 방안 연구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내용                           주요내용

 •  아프리카 기술직업교육 3단계 사업 참여를 위하여 관련 문서 검토, 지역 및 국별 기초자료 분석,   •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의 방향과 목적을 설정하고 최종수요자인 훈련생에게 도움이 되는 훈련을

 사업실행기관 약정체결 관련 준비 자료 작성, 세부활동 내용 확정을 위한 실무 협의 등 수행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컨설팅 모델을 개발하고 산대특훈련 고도화 방안 도출
                                •  개발된 컨설팅 모델과 컨설팅 영역별 요구도 조사 결과는 당해연도 RSC 컨설팅 지원에 활용될 예정


 주요목차                           주요목차

 •  BEAR 사업 추진 경과  • 현지조사(Scoping Mission) 결과분석  • 선행연구 검토      •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관계자 심층 면담 분석
 • 대상국별 사업 환경분석  • 실행기관협정(IPA) 체결 준비  • 조사 결과 분석









 중견기업의 청년고용 변화와 일자리사업 정책과제  지역일자리 지표 및 지수 개발





 2022년 12월, 환경부, 한국고용정보원  2022년 12월, 한국고용정보원
 권혜자, 김은영, 남궁헌, 김태우, 이승윤, 박성재  김수진, 이나경, 오윤석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아이콘 및 제목을 클릭하면 중견기업의 청년고용 변화와 일자리사업 정책과제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아이콘 및 제목을 클릭하면 지역일자리 지표 및 지수 개발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내용                           주요내용
 •  재정지원 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일자리 사업 참여 전후 참여자들의 일자리 변화와 경제활동  •  지역 일자리를 둘러싼 노동시장과 일자리 사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일자리사업 담당자가 지역이
 상태의 변화를 분석                      당면한 노동시장 문제를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

 •  데이터 분석, 설문조사, 사례조사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참여자 특성과 일자리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 고용노동부 사업을 중심으로 일자리 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유형별 일자리 사업 지표를 제시
 고용 취약계층의 일자리 개선을 위한 일자리 사업 개선과제 모색   •  정보 수요자이자 사용자인 지역별 일자리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사전 설문조사 및 FGI를 실시하여 지표 및
                                  지수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지역 일자리 지표체계 개선을 위한 로드맵 제시
 주요목차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현황 개관  • 취약계층 참여자의 특성과 고용변화  주요목차
 •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특성과 취업이행  • 청년 대상 일자리사업 효과 분석
                                • 일자리 지표와 관련한 선행연구
 •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참여 전후 일자리   • 사업유형별 참여자의 성과와 애로사항 모니터링
                                • 지역 일자리 지표체계와 지수
 변화와 취업성과  •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특성과 정책과제
                                • 지역고용주체 대상 정성조사 결과
   16   17   18   19   20   21   22   2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