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 - HRDK동향 Vol.91
P. 18
18 고용 BRIEF HRD TRENDS & ISSUES MAGAZINE HRD · 2023 19
2023년 8월 고용동향 이달의 키워드 & HRD 생생정보
고용노동부, 2023. 9. 13 이달의 키워드(워드클라우드) 2023년 HRD동향 10월호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아이콘 및 제목을 클릭하면 2023년 7월 고용동향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용률(63.1%)・경제활동참가율(64.4%)은 8월 역대 최고, 최고 수준
실업률(2.0%)은 8월 역대 최저 ▪ 실업자수는 전년대비 △4.1만명 감소(29개월 연속), 실업률은 △
▪ 15세 이상 고용률(63.1%, +0.3%p)·15~64세 고용률(69.6%, 0.1%p 하락하여 8월 기준 역대 최저 수준
+0.7%p)은 동반 상승하며 8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 ▪ 취업자수는 전년대비 +26.8만명 증가, 전월대비 취업자수(계절조정)는 일자리 지역 고용노동부
▪ 경제활동참가율은 30개월 연속 상승(+0.3%p)하며 8월 기준 역대 증가 전환(+7.7만명)
인구 및 취업자 증감(천명) | 고용률(15~64세) 및 증감(%, %p) 9월에는 직업능력의 달을 맞이하여 인적자원개발 컨퍼런스를
중심으로 다채로운 행사가 개최되었다. 직업능력개발 발전을
인구 증감 취업자 증감 증감(우축) 고용률(15~64세) 위해 힘쓴 유공자 및 기업들에게 포상 및 인증서를 수여하고
1200 1.135 72.0 5.0
1.037 4.5
69.6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 등 다양한 사업의 우수사례 경진
1000 935 70.0 69.1 4.0
865
831 841826 807
773 3.5
800 707 68.0 대회가 열렸다.
671 652 677 3.0
626 2.6
553 2.7 2.3
600 518 509 66.0 2.1 2.2 2.5 이 외에도 일자리 기회 제공을 위해 일경험 정책협의회, 민간
469 2.0 2.0 2.0 2.0
411 1.5 1.4 1.7 1.6 1.5 2.0
400 354 351 333 64.0
312 268 1.1 1.2 1.2 1.5 금융재단과 청년 취업 활성화를 위한 MOU 체결 등도 이루어졌다.
211 1.0 0.8 0.9 0.7 1.0 HRD동향 10월호 워드클라우드
200 62.0 0.6 0.4 0.7 0.8 0.5
0.5
0 60.0 0.0
8 9 10 11 12 22.1 2 3 4 5 6 7 8 9 10 11 12 23.1 2 3 4 5 6 7 8 8 9 10 11 12 22.1 2 3 4 5 6 7 8 9 10 11 12 23.1 2 3 4 5 6 7
HRD 생생정보
서비스업은 대면서비스·보건복지업 중심으로 취업자수 증가 + 임시직·일용직은 감소폭 축소
제조업은 생산부진 및 기저효과 등으로 취업자수 감소 - 고용원有 자영업자, 고용원無 자영업자 모두 증가
▪ (서비스업) 방학기간 외부활동 증대 및 돌봄수요 확대 등에 따라 ▪ (직업별) 전문가, 서비스, 사무직 직종 등은 증가, 단순노무직, 기능
대면서비스업 및 보건복지업 중심으로 취업자수 증가세 지속 직, 판매종사자 등은 감소
▪ (제조업) 이차전지 등 수출감소 및 생산부진 지속, 기저효과(‘22.8월 여성 경제활동 참가 확대 등으로 여성 취업자수 증가
연간 +13.5만명) 등으로 취업자수 감소폭 확대 ▪ (취업시간) 건강·돌봄 등 짧은 근로를 선호하는 고령층·여성 경제활
▪ (건설‧농림어업) 건설 경기부진 우려 등에도 불구하고 감소폭 동 참여 확대 등으로 36시간 미만 근로자 비중 증가
축소, 농림어업도 7월 집중호우 영향을 회복하며 감소폭 축소 ▪ (성별) 여성 경제활동참가확대 등으로 여성 중심 취업자수 증가 +
인구영향 등으로 고령층 중심 취업자 증가, 청년층 감소 제조업 고용 부진 등으로 남성 취업자수는 감소 지속
▪(고령층) 경제활동참가 확대 등으로 취업자수 지속 증가 향후 대면서비스업·보건복지업 등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 (청년층) 고용률은 7개월 연속 감소했으나 8월 기준 역대(‘82.7월~) 2위, 고용률・실업률은 견조한 흐름 지속 전망
실업률(4.5%)은 역대(’99.6월~) 최저 ▪ 특히, 중국인 단체관광 재개 등에 따른 중국인 방한 관광객 확대
상용직 중심 취업자수 증가 + 임시·일용직은 감소폭 축소 등은 서비스업 고용 호조세 지속에 긍정적 영향 기대
▪ (지위별) 상용직 중심(전체 취업자 중 비중 56.5%) 증가 지속,
⇒ 고용동향 지속 모니터링 + 양질의 일자리 창출 노력 지속
① 「일자리 전담반(TF)」 중심으로 고용동향 지속 점검 및 불확실성 선제적 대응 + 추가적인 일자리 정책과제 지속 발굴
▪건설업 경기·고용 현황 및 산업현장의 애로사항 등 검토
▪1·2차 빈일자리 해소방안 후속조치 면밀히 이행 + 지역별 빈일자리 상황 및 현장 체감도를 타게팅한 대응방안 마련
② 「하반기 경제정책방향」(7.4) 정책과제 이행, 수출・투자 활성화를 통한 경제활력 회복 노력 등 양질의 민간 일자리 창출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