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HRDK동향 Vol.103
P. 19
고용 brief HRD TRENDS & ISSUES MAGAZINE · 2024
2024년 8월 고용동향 이달의 키워드 & HRD 생생정보
고용노동부, 2024. 9. 11.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아이콘 및 제목을 클릭하면 2024년 8월 고용동향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달의 키워드(워드클라우드) 2024년 HRD동향 10월호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고용률(63.2%)・경제활동참가율(64.4%)은 8월 역대 최고, 실업률(1.9%) 8월 역대 최저, 취업자수 +12.3만명 증가
ㅇ 15세 이상 고용률(63.2%, +0.1%p)·15~64세 고용률(69.8%, +02%p) 모두 8월 기준 역대 최고 기록
ㅇ 경제활동참가율 (64.4%, +0.0%p) 8월 기준 역대 최고
ㅇ 실업률(1.9%)은 하락(△0.1%p)하여 8월 기준 역대 최저 1위_ 맞춤형 ’24년 10월호에서는 국민 맞춤형
ㅇ 취업자수 전년대비 +12.3만명 증가(42개월 연속) 서비스 제고를 위한 업무협약체결 및
6월
월
7월
- 계절조정 취업자수는 3개월 연속 증가( 0.2→ 1.9→8 1.4만명) 중장년 맞춤형 훈련 확대,
체계적 현장훈련
(산업별) 서비스업 증가세 지속, 제조업·건설업·농림어업 감소
2위_ 현장
(S-OJT) 등 교육훈련 우수사례와
ㅇ 서비스 42개월 연속 증가세 지속(+28.6→+28.6만명)
- 정보통신(+10.1만명)ㆍ전문과학(+9.4만명)은 IT 인력수요 지속 및 대기업 본사 채용 등으로 증가폭 확대 현장의견을 대폭 수렴하여 일·가정의
- 운수창고(+9.4만명)ㆍ보건복지업(6.3만명)은 화물량ㆍ해외여행 증가 및 돌봄수요 지속 등으로 증가 지속 양립과 지속을 위한 육아휴직
- 도소매업(△6.4→△5.5만명)은 감소폭 축소 3위_ 지속 수당확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ㅇ 제조 수출개선 등에도 불구하고 감소 지속(▲3.5만명)
ㅇ 건설 건설수주 둔화 등 옇향으로 고용 감소 지속(▲8.4만명) HRD동향 10월호 워드클라우드
ㅇ 농림 폭염일수 증가 등 영향으로 취업자 감소폭 확대(▲4.0만명)
HRD 생생정보
(지위·연령) 상용직 비중 56.6%(8월 역대 최고), 대부분 연령대 고용률 증가
ㅇ 지위 상용직 증가 지속(+9.9만명)하며 상용직 비중 역대 최고
- 비임금근로자 감소폭 전원대비 축소(▲8.0→▲6.7만명)
ㅇ 연령 30대·40대·고령층 등 고용률 상승
- 청년 고용률(46.7%)이 하락하였으나 청년실업률(4.1%)은 하락하며 역대 최저, 20대 후반 고용률(73.0%)ㆍ실업률(3.9%) 역대 최고ㆍ최저
- 30대는 인구증가 대비 취업자수 큰 폭 증가하며 고용률 상승, 40대도 인구감소 비해 취업자수 소폭 감소하며 고용률 상승
- 50대는 고용률 하락하였으나 역대 2위로 높은 수준, 60세 이상은 경제활동 참여 확대 등으로 취업자 증가ㆍ고용률 상승 지속
(평가ㆍ전망) 고용률 · 경활률 역대 최고, 실업률 역대 최저 등 주요 고용지표 양호한 모습
ㅇ 다만, 건설업ㆍ자영업 취업자 감소, 청년 등 고용취약계층 어려움 지속
- 건설업 취업자는 입주물량 증가 등으로 계절조정 기준 7개월만에 전월비 (+)전환하였으나, 기저효과 영향으로 전년비 감소폭 확대
- 자영업자는 고용원 無 중심 감소폭 축소되었으나 7개월 연속 감소
ㅇ 농림어업 취업자 감소폭 확대(▲2.6→▲4.0만명), 일시휴직(+18.5만명)ㆍ36시간 미만 단시간 근로자(+203.7만명) 큰 폭 증가 등 폭염 영향도 관측
⇒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취약부문 맞춤형 일자리 지원 강화
❶ 수출 중심 경기회복 흐름이 고용·민생 개선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추석 민생안정대책 신속 추진 등 내수보강 노력 강화
❷ 건설투자 5조원 보강 및 「건설업 일자리 지원방안」(8.14)을 차질없이 추진하는 한편, 「공사비 안정화 대책」을 9월중 마련
❸ 「소상공인 종합대책」(7.2)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여 경영부담 완화 및 재취업 등 새출발 적극 뒷받침
❹ 청년ㆍ여성ㆍ중장년 맞춤형 경제활동촉진 방안 등 포함한 사회이동성 개선방안(2차) 마련ㆍ추진
※ 범부처 일자리TF 중심으로 업종별 · 계층별 고용 여건 면밀히 점검하고 필요시 추가적인 지원방안 적극 강구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