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 - HRDK동향 Vol.111
P. 23
연구 inside HRD TRENDS & ISSUES MAGAZINE · 2025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중장년 대상 직업훈련 혁신 방안
2025년 4월 사업체노동력조사
(KRIVET Issue Brief 303호)
고용노동부, 2025년 5월진욱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5년 5월 정은진 박상오
QR코드를 스캔 OR 클릭하면 2025년 4월 사업체노동력조사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R코드를 스캔 OR 클릭하면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중장년 대상 직업훈련 혁신 방안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내용 주요내용
• 종사자수 및 증감률 추이 • 탄소중립 녹색성장과 중장년 근로자 직업군 변화
• 입이직자수 및 증감률 추이 • 인터뷰 및 AHP 분석 결과
• 시도별 고용부문 조사결과 • 직업훈련 혁신방안 핵심 요인 및 세부 방안
• 용, 임금 및 근로시간 동향 통계 • 핵심 요인 기반 정책적 제언
주요목차 주요목차
• 고용부문 조사결과 • 통계표 • 분석의 필요성 및 분석자료 • 직업훈련 혁신방안과 정책 제언
• 근로실태부문 조사결과 •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중장년층 직업훈련 혁신방안 도출
지역노동시장 양극화와 일자리 정책과제 초거대 AI 보편화의 청년 구인 수요에 대한 영향 전망
한국고용정보원, 2024년 12월 이상호, 이지은, 노대영 한국노동연구원, 2024년 12월 김세움
QR코드를 스캔 OR 클릭하면 지역노동시장 양극화와 일자리 정책과제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R코드를 스캔 OR 클릭하면 초거대 AI 보편화의 청년 구인 수요에 대한 영향 전망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내용 주요내용
• 해외 및 국내 선행연구
• 지역일자리 불평등 현황 • 조선업 실직자들의 실직과 재취업
• 초거대 AI 활용 보편화와 청년층 구직 난이도
• 지역 간 임금 격차 요인 분석 • 일자리 정책 과제 제시
• 양·질 측면 난이도 상승 및 하락 요인 검토
• 세대 간 계층 이동 모형
• 통계적 방법론 및 모형 분석 결과
주요목차 주요목차
• 지역일자리 불평등 현황과 요인 • 지역산업 쇠퇴와 일자리 이동 • 선행연구 및 관련 기술발전 현황 • 청년 구직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
• 지역 이동과 세대 간 계층 이동 • 지역일자리 정책 과제 • 청년 구인기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
22 22 2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