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HRD동향4월85호(e-book용)최종
P. 19
18 고용 BRIEF HRD TRENDS & ISSUES MAGAZINE HRD · 2023 19
2023년 2월 고용동향 이달의 키워드 & HRD 생생정보
2023, 고용노동부 이달의 키워드(워드클라우드)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아이콘 및 제목을 클릭하면 2023년 2월 고용동향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3년 HRD동향 4월호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2월 고용지표는 고용률·실업률 등 비율지표는 개선, △6.4만명 감소(23개월 연속 감소)
취업자 증가폭 둔화 ▪전월대비 취업자 수(계절조정)는 4개월 만에 증가(+27.7만명) 전환
▪ 대면서비스업 증가세 지속, 상용직 중심 증가는 긍정적이나,
▪ 15세 이상 고용률(+0.5%p)과 15~64세 고용률(+0.6%p) 동반 상승,
인구 감소(△19.1만명)・기저효과 등에 따른 청년층 취업자 감소
실업률(3.1%)은 0.3%p 하락
등은 한계
▪ 취업자 수는 +31.2만명 증가(24개월 연속 증가), 실업자 수는
기업 훈련 HRD
인구 및 취업자 증감(천명) | 고용률(15~64세) 및 증감(%, %p)
4월호에는 직업훈련 효과성 평가 연구 발표, 사업주 원격훈련의 현황
인구 증감 취업자 증감 증감(우축) 고용률(15~64세) 분석 등의 소식이 전해졌으며, 기업들의 훈련 참여 확산(공동훈련센터
1400 72.0 5.0
1200 1.135 약정체결, 청년친화형 기업 ESG 지원사업 등)도 많이 이루어졌다.
1.037 70.0 4.0
1000 935 68.0
831 865 841 826 807 67.4
773
800 707 677 68.0 3.0 또한 빈일자리 해소 방안, 구직자·기업 도약보장 패키지 서비스 등
652 671 652
619 582 542 626 2.1 2.2 2.3
600 518 553 509 2.0 2.7 2.6 2.0 2.0 2.0
411 66.0 64.8 1.5 1.4 1.7 1.6 1.5 2.0
400 314 312 1.1 1.1 1.2 1.1 1.0 1.2 1.2 구직자에게 도움이 될 만한 다양한 정책을 발표하였다.
64.0 0.8 1.0
200 0.6 HRD동향 4월호 워드클라우드
0.3
0 0.0
62.0
-200
60.0 -1.0
-400
-473 -1.5
-600 58.0 -2.0
21.2 3 4 5 6 7 8 9 10 11 12 22.1 2 3 4 5 6 7 8 9 10 11 12 23.1 2 21.2 3 4 5 6 7 8 9 10 11 12 22.1 2 3 4 5 6 7 8 9 10 11 12 23.1 2
HRD 생생정보
3
산업별로는 제조업 감소 지속, 보건복지·숙박음식업 증가 상용직, 전일제(36시간 이상) 중심 증가
▪ (제조업) 생산·수출감소 등 영향으로 2개월 연속 감소했으나, 감소폭은 축소 ▪(지위별) 상용직 중심으로 증가, 임시·일용직은 감소세 유지
▪ (서비스업) 보건복지(25개월) 및 숙박음식업(10개월) 취업자 증가 - 고용원有 자영업 지속 증가, 고용원無 자영업 감소폭 감소
지속, 다만 증가폭은 축소 ▪(시간별) 전일제(36시간 이상) 근로자 증가
▪(건설업) 날씨(기온상승)・건설경기 영향 등으로 감소폭 축소 취업자 증가폭 둔화, 고용률·실업률은 전년과 유사 전망
인구영향 등으로 고령층 중심 취업자 증가, 청년층·40대 감소 ▪ ‘22년 고용호조에 따른 기저효과 및 경기둔화*·생산연령인구 감소**
▪ (고령층) 인구구조 변화 등으로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세 지속(25개월 연속) 등 취업자 증가폭 둔화요인 지속
▪ (청년층) 전년도 큰 폭의 증가(+26.3만명)에 따른 기저효과 및 인구 - 다만, 일상회복 등에 따른 대면서비스 정상화, 외국인근로자 유입 등
감소, 경기둔화 등으로 4개월 연속 감소(감소폭 확대) 으로 당초 전망보다 둔화폭이 축소될 가능성도 상존
▪ (40대) 인구감소(△10.4만명)에 따라 도소매업 등에서 취업자가 감 - 고용률 및 실업률은 생산연령인구 감소 등으로 인해 전년과 유사한
소되었으나, 고용률은 유지 수준 전망
⇒ 고용상황 변화에 선제 대응하면서, 구조개선 노력도 병행
① 「일자리 전담반(TF)」중심으로 고용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고용여건 개선 및 원활한 일자리 수급을 위한 과제 적극 발굴
② 취약계층 대상 직접일자리 등 旣 마련된 일자리 사업을 조속히 추진
③ 현장의 인력난에 대응하여 구인이 어려운 업종을 점검하고, 일자리 미스매치 완화를 위한 지원방안 마련
④ 수출·투자 총력 지원, 규제혁신 등 양질의 민간 일자리 창출기반을 지속 확충하고, 근로시간 등 노동시장 개혁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