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 - HRDK동향 Vol.103
P. 12

HRD 현장                                                                                                                      HRD TRENDS & ISSUES MAGAZINE · 2024
       제47회 프랑스 리옹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사업주자격」우수사례에서 기업과

       대한민국 종합 2위 달성                                                                                                               근로자의 동반성장을 배워요!



       2024년 9월 16일, 고용노동부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아이콘 및 제목을 클릭하면 제47회 프랑스 리옹 국제기능올림픽대회 대한민국 종합 2위 달성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4년 9월 30일, 고용노동부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아이콘 및 제목을 클릭하면 「사업주자격」 우수사례에서 기업과 근로자의 동반성장을 배워요!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금 10개, 은 13개, 동 9개, 우수 11개 획득,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WSI) 공식발표 4개 지표 기준 종합 2위                                                   - 9.30.(월) 수상기업 발표 등 ‘사업주자격 검성사업 우수사례 발표대회’ 개최
       -  제조기술 및 공학(Manufacturing Technology and Engineering) 직종 (CNC선반, 용접, 산업제어, 모바일로보틱스, 적층제조,                                  - ㈜아모레퍼시픽, 삼성웰스토리, ㈜케이티엠오에스남부, 부산환경공단 수상
        로봇시스템통합) 대한민국 강세
       -적층제조 등 신규 출전 직종에서 금메달 쾌거

                                                                                                                                   고용노동부(장관 김문수)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이우영)은 9월 30일(월) 킨텍스(경기      지식 평가뿐 아니라 실제 주방에서 접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평가하며, 자격
                                                                                                                                   고양시 소재)에서 「2024년도 사업주자격 검정사업 우수사례 공모」를 통해 선정된 총 4개      취득자는 현장의 잠재 위험을 파악하고 개선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게 된
       고용노동부(장관 김문수)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이우영, 국제기능                  이번 대회에서 조직위원회(WSI)가 발표한 국가별 비교순위 지표로 4개                              기업(대상 1, 금상 2, 동상 1개소)의 우수사례 발표대회 행사를 했다고 밝혔다.          사례를 발표해 큰 박수를 받았다.
       올림픽대회 한국위원회 회장 겸직)은 제47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프랑스                 항목(평균 점수, 평균 메달 점수, 총 메달 점수, 참가선수 총 점수)에 따르면                         *(그간 선정기업 총계) 대상 7, 금상 15 은상 12, 동상 11개소 등 총 45개소(‘17년~)  금상(공동수상)을 받은 ㈜케이티엠오에스남부는 ‘유‧무선 운용 장비의 고장 진단
                                                                                                                                   정부는 사업주자격* 및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고, 정보 및 경험을 공유하여            및 문제해결 전문가’ 육성을 위해 자격을 운영하고 있다. 지역별로 다른 통신 및 업무
       리옹, 9.10.~9.15.)에서 우리나라 선수단이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우리나라는 금메달 10개, 은메달 13개, 동메달 9개, 우수 11개를 획득해
                                                                                                                                   기존 사업 참여자들의 역량 강화와 신규 참여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2017년부터 매년          환경을 표준화하고 대응 역량을 향상하기 위하여, ’20년에 자격 도입, ’23년 인력공단
       (WSI, World Skills International) 발표 공식 지표 4개를 점수화한 결과를   232점을 얻어 종합 2위의 성적을 거두었다.
                                                                                                                                   우수사례를 선정·발표하고 있다.                                       인증을 통해 직원 참여도를 빠르게 높이고 있으며, 현재 다양한 맞춤형 학습 도구를
       기준으로 종합 2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사업주자격)  사업주가 단독 또는 공동으로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해 일정한           개발하는 등 자격의 품질을 개선한 사례를 발표해 주목받았다.
                                                                                                                                            기준으로 근로자의 직무능력을 평가하여 부여하는 자격                   동상을 받은 부산환경공단은 하수처리장 시설 운영 전문가인 ‘환경시설관리사’를
                                               조직위원회(WSI) 공식 결과 발표 지표 4개                          메달집계 참고자료
        종합
                  국가        환산       평균 점수         평균 메달점수        총 메달점수       참가선수 총 점수                                           이번 발표대회에서 다양한 직무의 사업주자격을 통해 근로자들의 직무 전문성 향상은            운영하고 있다. 내실 있는 자격 운영을 위해 교육콘텐츠에 사내강사를 참여시키고
        순위                                                                                    금    은     동    우수
                           점수 계    순위    환산점수     순위    환산점수     순위    환산점수    순위    환산점수                                          물론이고 작업 환경의 안전‧위생 개선사례와 고객 만족도 제고 사례 등이 소개되었다.          상시 학습 프로그램을 추가로 운영하는 등 기업 내 학습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1위       중국        240     1      60      1      60     1      60      1      60     36    9    4     8
                                                                                                                                   대상을 받은 ㈜아모레퍼시픽은 고객에게 수준 높은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CX          노력하고 있다. 또한, 자격 취득자에게 인사 가산점을 부여하는 등 능력 중심의 인사
         2위     대한민국        232     2      59      2      59     2      59      6      55     10   13    9     11
                                                                                                                                   Master’ 자격을 운영하고 있다. 신입사원에게 최신의 소비 경향, 고객 응대 기술, 코칭     평가로 학습에 대한 동기를 높이는 사례를 발표해 문의가 쇄도했다.
         3위       대만        227     4      57      5      56     4      57      4      57     2     3    10    28
         4위      스위스        226     3      58      3      58     4      57      8      53     6     6    1     21                  기법 등의 체계적 훈련과 자격 연계를 통해 단순 판매사원이 아닌 ‘고객 경험 전문가’로        권태성 직업능력정책국장은 “사업주자격 우수사례를 통해 많은 근로자가 자격 취득을
         5위      프랑스        224     8      53      6      55     3      58      3      58     6     4    3     24
                                                                                                                                   성장시키는 사례를 발표해 큰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통해 전문성과 함께 자긍심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사례는 고무적이다. 정부는
                                                                                                                                   금상(공동수상)을 받은 삼성웰스토리는 사업장 내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 최우선 문화를          사업주와 근로자가 함께 동반성장하는 우수사례를 발굴해 널리 확산하는 노력과 함께
                                                                                                                                   정착하기 위해 ‘위생안전 전문가’ 자격을 운영하고 있다. 위생 안전 관리‧점검 등 이론        든든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더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참고로, 우리나라는 조직위원회(WSI)가 국가별 비교 순위 지표로 발표한               정성일(19세) 선수가 금메달리스트에 이름을 올렸으며, 웹기술 직종 신승빈
       4개 공식 결과(Official results)를 활용하여 종합순위를 산정하는 방식을        선수(20세)가 금메달을 획득, 2017년 아부다비(Abu Dhabi) 대회 이후 해당
       2017년부터 적용하고 있다. 이는 일부 특정 지표로 종합순위를 산정하기               직종 4연패의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국가자격 운영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고“를 위한
       보다는 질과 양적 측면 모두를 균형있게 반영할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이우영 국제기능올림픽대회 한국위원회 회장(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은
                                                              “현장을 뜨겁게 달군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들 모두가 자랑스럽다”라며,
               항 목                      산 출 기 준                                                                                    한국산업인력공단-부산교통공사 업무협약(MOU) 체결
                평균 점수                                         “미래를 선도할 기술인재 양성에 공단이 앞장서, 대한민국 숙련기술의
                                 참가 선수별 취득 점수의 총합계÷
        ①     (Average Points
                                     국가별 참가 직종 수
                Scored)                                       르네상스를 열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2024년 10월 8일, 한국산업인력공단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아이콘 및 제목을 클릭하면 ”국가자격 운영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고“ 를 위한 한국산업인력공단-부산교통공사 업무협약(MOU) 체결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총 메달점수          (금메달*4점)+(은메달*3점)+(동메달*2점)
        ②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국제무대에서 기술강국 대한민국의 위상을
             (Total Medal Points)      +(우수상*1점)
                                                              드높인 자랑스러운 우리 대표선수들에게 아낌없는 격려와 박수를                                    - 9.30.(월) 수상기업 발표 등 ‘사업주자격 검성사업 우수사례 발표대회’ 개최
               평균 메달점수          (금메달*4점+은메달*3점+동메달*2점
        ③                                                                                                                          - ㈜아모레퍼시픽, 삼성웰스토리, ㈜케이티엠오에스남부, 부산환경공단 수상
            (Average Medal Points)  +우수상*1점)÷국가별 참가 직종 수      보낸다”라며, “정부는 청년 기술인재들이 기술강국 대한민국의 주인공으로
              참가선수 총 점수
        ④                         참가 선수별 취득 점수의 총합계           당당히 자리매김하고 맘껏 꿈을 펼치며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아낌없이
            (Total Points Scored)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제조기술 및 공학 분야인 CNC선반, 용접, 산업제어, 모바일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입상자에게는 금, 은, 동메달 순위에 따라 각각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이우영, 이하 ‘공단’)은 10월 8일 부산교통공사 본사에서          향상을 도모한다.
                                                                                                                                   ‘국가자격의 효율적인 운영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고’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또한 ESG경영 실천을 통한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등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로보틱스, 적층제조, 로봇시스템통합 직종에서 강세를 나타내며 해당                   6,720만원, 5,600만원, 3,920만원의 상금과 훈포장이 수여된다.
                                                                                                                                   이번 업무협약(MOU)은 양 기관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도 모색할 예정이다.
       분야에서만 6개의 금메달(금메달 획득 수 대비 60%)을 획득했다.                  또한 국가기술자격 산업기사 자격시험 면제, 산업기능요원으로 복무할 수
                                                                                                                                   국가자격사업의 효율적인 운영과 ESG경영실천 등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또한,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인 IT 분야(웹기술 직종) 뿐만 아니라 서비스              있는 병역 혜택, 은퇴 시까지 계속종사장려금(매년 505만원~1,200만원)을
                                                                                                                                   추진되었다.                                                  이우영 이사장은 “부산교통공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국가자격시험 업무
       분야(피부미용 직종), 예술 패션 분야(의상디자인 직종, 그래픽디자인 직종)             지급하는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공단은 493종목의 국가기술자격시험과 37종목의 전문자격시험을 주관하고 있으며,            수행과 대국민 편의 서비스 제고 노력을 계속하겠다”라며, “앞으로도 공단은 「일상에서
       등 여러 분야에 걸쳐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2026년 제48회 대회는 중국 상하이, 2028년 제49회 대회는 일본                             연간 약 450만명이 시험에 응시하고 있다. 이번 부산교통공사와의 업무협약으로,            상식으로, 오늘에서 평생으로」 평생능력개발 상식의 시대를 위해 앞장서겠다”라고
       특히, 이번 대회에 신규 도입된 로봇시스템통합 직종에서 강승환(20세),               아이치현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국가자격시험 기반 시설 확보를 통한 사업의 효율성 제고와 대국민 서비스의 질적             말했다.


                                                            12                                                                                                                          13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