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HRDK동향 Vol.107
P. 20

고용 brief                                                                                                                    HRD TRENDS & ISSUES MAGAZINE · 2025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22-2032 :
          2024년 12월 고용동향
                                                                                                                                      미래 일자리 세계의 변화



           고용노동부, 2025. 1. 15.  QR코드를 스캔 OR 클릭하면 2024년 12월 고용동향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 2024년 12월      정순기, 홍현균, 박미화, 박승훈, 공예림
                                                                                                                                          QR코드를 스캔 OR 클릭하면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22-2032 : 미래 일자리 세계의 변화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용률(61.4%) 12월 역대 2위, 경제활동참가율(63.9%) 12월 역대 1위,    ㅇ 경제활동참가율(63.9%, +0.1%p) 12월 기준 역대 최고
            실업률(3.8%), 취업자수 △5.2만명 감소                            ㅇ 실업률(3.8%, +0.5%p)

          ㅇ  15세 이상 고용률 61.4%로 △0.3%p 하락, 15~64세 고용률 69.4%로 +0.2%p 상승  ㅇ 취업자수 전년대비 △5.2만명 감소, 계절조정 취업자수는 감소 전환                                                      주요내용
                                                                                                                                                                    •  산업별/직업별 인력수요 전망                    •  인구 변화와 우리 노동시장 관계
              ⇒ 15세 이상 고용률ㆍ실업률(원계열, 매년 12월)) + 전체 취업자수 및 증감(원계열, 계절조정, 전년비)
                                                                                                                                                                    •  기대되는 산업의 성장
            62 (%)                                             8   2,900                                    (만명)  150
                    실업률(우)   고용률(좌)
                                                         61.4      2,850                                        100                                                 주요목차
            60                                                 6
                                                                   2,800                                         50                                                 •  지금부터 10년, 새로 쓰는 역사                 •  우리 경제를 이끄는 노동력
            58                                                 4
                                                                   2,750                                         0                                                  •  밀려오는 변화의 물결                        •  미래 일자리 전망
                                                                               취업자 수(좌)   취업자 증감(우)
            56                                                 2   2,700                                        -50                                                 •  세계 경제의 오늘과 내일                      •  경제적 효율성을 위한 랩소디
                ’00      ’05      ’10       ’15      ’20    ’24      ’22.1            ’23.1       ’24.1        12
                                                                                                                                                                    •  노동 현장의 변화                          •  사람과 함께하는 미래 기술
              (산업) 서비스업 증가, 제조업·건설업·농림어업 감소                          -  30대는 인구증가 대비 취업자수 큰 폭 증가하며 고용률 상승, 40대도 인구감소
          ㅇ  서비스  46개월 연속 증가 지속, 증가폭 축소(+35.0 → +17.7만명)            비해 취업자수 소폭 감소하며 고용률 상승
              -  전문과학(+10.7만명)·교육업(+6.6만명)·정보통신(+5.2만명) 증가 지속        -  50대는 고용률 하락하였으나 역대 3위로 높은 수준, 60세 이상은 12월 직접일자
              -  도소매(△9.6만명)ㆍ사업시설업(△5.8만명) 감소 지속                    리 등 영향으로 고용률 하락
                                                                                                                                      신산업분야 고졸 인력 성장경로 모델 개발 연구
              -  보건복지(△0.3만명)ㆍ공공행정업(△0.1만명) 감소 전환
                                                                      (평가·대응) ’24.12월 고용지표는 정치적 불확실성 등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연
          ㅇ  제조   수출 증가에도 불구, 전년대비 감소(△9.7만명)
                                                                   말 직접일자리사업 종료 등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둔화
          ㅇ  건설  기저효과ㆍ입주물량 감소 등으로 감소폭 확대(△15.7만명)
                                                                 ㅇ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이 임시·일용직 중심으로 도소매·운수
          ㅇ  농림  조사주간 강수량 감소 등 영향으로 증가 전환(+2.5만명)
                                                                   창고·숙박음식·개인서비스업 고용에 영향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4년 10월      류지은, 정윤경, 김성남, 김대영, 손규태, 최지연, 최지희
              (지위·연령) 상용직 58.6% 12월 역대 최고, 대부분 연령대 고용률 상승        ㅇ 연말 직접일자리사업 일시 종료도 12월 고용지표 둔화에 영향                                      QR코드를 스캔 OR 클릭하면 신산업분야 고졸 인력 성장경로 모델 개발 연구 보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ㅇ  지위  상용직 증가폭 확대(+18.7만명), 상용직 비중 역대 최고                   -  직접일자리사업은 대부분 12월 초중순까지 운영→12월은 직접일자리 증가
              - 고용無 자영업자 증가 지속 + 고용有 자영업자 감소폭 축소                    효과 소멸되며 공공행정·보건복지 취업자 증가폭 축소 경향
          ㅇ  연령   30대·40대 고용률 상승, 고령층 고용률 감소 전환                      -  특히, 조사주간이 ‘23년(12.10~16일)과 달리 12월 하순(15~21일)으로 늦춰
                                                                                                                                                                    주요내용
              -  청년층 고용률(44.7%, △1.3%p) 하락, 핵심 취업연령대인 20대 후반 고용률    져 직접일자리사업 참여자수가 전년대비 (-)로 반영 가능성
                                                                                                                                                                    •  고졸 인력 양성이 요구되는 대표적인 신산업분야 선정
            (71.5%, △0.9%p) 하락하였으나 역대 2위로 높은 수준                   ㅇ  건설수주 둔화 영향 지속되는 가운데, 다소 회복세를 보이던 아파트 입주물량
                                                                                                                                                                    •  신산업분야에서 고졸 인력 성장경로 모델 예시 개발
              -  청년층 쉬었음(41.1만명, +4.5만명) 20대 후반(21.2만명, +3.3만명) 중심 증가   이 11월을 정점으로 감소하며 건설업 고용 감소세도 확대
                                                                                                                                                                    •  신산업분야의 고졸 인력 양성과 경력개발 지원에 관한 정책적 지원 방안 모색
                 ⇒ ⇒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과 취약계층 고용안정을 위해 흔들림 없이 노력

             ❶ 상반기 중 일자리 등 민생·경기사업 70% 이상 신속 집행, 18조원 수준 경기보강 등 통해 내수 회복과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 뒷받침
                                                                                                                                                                    주요목차
                  - 직접일자리 사업 채용인원을 확대(’24년117.8→’25년123.9만명)하고, 조기·통합공고 등 통해 신속채용(1분기 90%ㆍ상반기 97%) 추진
                                                                                                                                                                    • 고졸 인력 성장경로 관련 이론 및 정책            • 신산업분야 고졸 인력 성장경로 탐색
             ❷ 일자리 점검반 중심 청년 등 고용취약계층 일자리지원방안 점검·보완
                  - (청년) 미취업·쉬었음 청년 대상 청년고용올케어플랫폼 본격 가동, 채용행사* 집중 개최 등 통해 청년층 취업분위기 조성·확산                                                                           • 신산업분야 고졸 인력 수요 및 양성 동향           • 신산업분야 고졸 인력 성장경로 모델과 지원 과제
                     * 2025 대한민국 채용박람회(3월), 고용센터의 권역·지역별 채용행사(매월) 등
                  - (중장년) ①폐업 자영업자 대상 특화 취업지원 서비스 제공, ②건설 일용근로자 대상 취업지원센터 확대 등 맞춤형 지원





                                                              20 20                                                                                                                        21 21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