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 - HRDK동향 Vol.109
P. 7
HRD 스페셜 HRD TRENDS & ISSUES MAGAZINE · 2025
장기 쉬었음 청년 구성 쉬는 기간 중 상태 정책지원 요구 3개월(43.8%)~6개월(22.9%) 이내의 단기과정 선호
쉬는 기간 평균 22.7개월, 4년 이상 쉬는 청년도 약 11% 쉬었음 택한 사유 적합한 일자리 부족(38.1%), 교육·자기계발(35.0%)이 취업에 필요한 도움 생활비 지원(50.6%)보다 직업훈련·교육(59.3%), 참여 희망정책 내일배움카드 훈련(65.1%), 국민취업지원제도(49.6%),
근로소득 경험 근로소득 경험이 있는 청년이 87.7% 가장 많으나, 번아웃(27.7%), 심리적·정신적 문제(25.0%)도 상당수 취업알선·정보제공(54.7%)을 높게 평가 일경험(37.6%), 구직자 도약보장 패키지(30.1%) 順
마지막 일자리 제조업(14.0%)·숙박음식업(12.1%)의 소기업·소상공인 주된 활동 교육·자기계발(55.5%)과 휴식·재충전(52.1%)이 가장 높게 - 1:1 맞춤형 상담(32.0%)이나 직접체험 프로그램(31.6%) 수요가 높고,
(42.2%) 비중이 높고, 주로 수도권에 소재(53.3%) 나타났으나, 특별한 활동이 없었던 경우도 상당수(20.3%)
- 근속기간은 ‘6개월 미만’이 29.5%로 가장 높으며, 평균 17.8개월, 임금 심리상태 절반 이상(58.2%)은 쉰 기간을 ‘경제적·심리적으로 힘든 시간’
수준은 주로 200만원 이상~300만원 이하(48.8%) 으로 평가
< 수도권-지역 간 청년 일자리 격차 추세 >- 한국노동연구원
지역 쉬었음 상황은 수도권 대학이나 지방대 졸업생 간 무차별 - 쉬었음 기간이 길어질수록 재충전의 시간이라는 인식은 감소, 힘든시간,
* 단, 대학을 졸업한 곳에서 이동하여 다른 지역 일자리에 취업한 경우, 현재 구직 의욕을 잃게 만든 시간이었다는 인식 증가
취업했을 가능성 高 (취업 의지가 더 강할 가능성 高) - 쉬었음 상태가 불안하다는 답변은 77.2%에 달하며, 경제적어려움
일자리 분포 대학교 졸업예정자 ো ݅ݺ
(71.1%) 외에 자신감 하락(62.5%), 미래대비 미흡(53.9%)도 상당
취업자 수 비수도권 취업자 수가 더 많으나, ‘18년 이후 격차 감소
[ 마지막 일자리 ] 기업규모 [ 마지막 일자리 ] 근속기간 쉬었음을 택한 사유 쉬었음 상태에 대한 불안 정도 - ’ 13년~‘20년 기간 중 비수도권 총 취업자 수가 수도권보다 많지만, ’18년
[ 마지막 일자리 ] 근속기간 (%)(%)
[ 마지막 일자리 ] 기업규모 (%)(%)
쉬었음을 택한 사유 (중복응답,%)(중복응답,%)
쉬었음 상태에 대한 불안 정도 (%)(%)
ೠ ੌܻ ࠗ 이후 비수도권 취업자 수 감소, 수도권과의 격차 감소 추세
ೠ ੌܻ ࠗ
ഃ Ӓۧ ঋ
ഃ Ӓۧ ঋ
Үਭh Үਭhӝѐߊӝѐߊ * 취업자 수(’20): 비수도권 13,101천명 vs 수도권 13,097천명
Ӓۧ ঋ
Ӓۧ ঋ
ߣইਓ ߣইਓ 청년<15~34세> ‘18년 이후 수도권 청년 취업자 수 확대 심화, ’20년
ਃ೧ࢲ Ӓۧ Ӓۧ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 비율*은 31.7%까지 확대
ਃ೧ࢲ
बܻ बܻhन ޙઁhन ޙઁ
ࣗӝস ӝসѼӝস ӝস ҕҕӝҙҕҕӝҙ ӝఋ ӝఋ ѐਘ ѐਘ ѐਘ_ ѐਘ_ ֙_ ֙_ ֙_ ֙_ ࢚֙ ݒӒۧ * (수도권 취업자 수-비수도권 취업자 수)/비수도권 취업자 수 ×100
Ѽӝসӝস
࢚֙
ࣗӝস ӝস
ݒӒۧ
֙݅
҃۱ജ ળ࠺
֙݅ ֙݅
࢚ࣗҕੋ
࢚ࣗҕੋ ݅ ݅ ֙݅ ֙݅ ֙݅ ҃۱ജ ળ࠺
업종별 광업·제조업은 비수도권이 많으나, ‘15년 이후 감소 추세, 정보 쉬었음 청년 (1년이상 장기) ݅ݺ
통신업은 ’18년 이후 수도권에서만 증가 추세
향후 상향이직 가능성 (%)(%)
삶에서 일이 갖는 중요도 (%)(%)
삶에서 일이 갖는 중요도 향후 상향이직 가능성 일경험과 현 취업상태 쉬었음 기간과 현 취업상태
쉬었음 기간과 현 취업상태
일경험과 현 취업상태
장기 쉬었음 청년의 가치관과 희망사항 직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더 중요하게 평가
ഃ ਃೞ ঋ ഃ زೞ ঋ 임금 - 평균임금
ഃ زೞ ঋ
ഃ ਃೞ ঋ
֙ ݅
ੌ҃ হ
ੌ҃ হ
֙ ࢚
ੌ҃
ੌ҃
֙ ݅
쉬었음 청년의 대부분(84.6%)은 삶에서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 ※ ‘직장 선택 시 직무가 중요하다’에 대한 긍정 응답 비중 ֙ ࢚
ਃೞ ঋ
زೞ ঋ
ਃೞ ঋ زೞ ঋ 업종 광업·제조업은 비수도권이 더 높은 수준이나, ‘16년 이후 상대임금
- 절반 이상이 일을 통해 사회·경제적으로 나아질 수 있으며(56.3%), 향후 - 입사 당시 희망 직무와 일치: (일반) 62.1% vs (쉬었음) 69.4% 적성·
ࠁా ࠁా ࠁా ࠁా ஂস ஂস ஂস ஂস ஂস ஂস 수준 하락, 정보통신업은 수도권이 비수도권 대비 20% 높음
ஂস
ஂস
더 좋은 일자리로 이직할 수 있다고 생각(57.3%) 흥미와 직무가 일치: (일반) 67.7% vs (쉬었음) 73.8%
ਃೣ ਃೣ زೣ زೣ 청년<15~34세> 청년의 평균임금은 수도권이 더 높고, ’16년 이후 약 7%
[ 마지막 일자리 ] 근속기간 (%)
[ 마지막 일자리 ] 기업규모 (%)
쉬었음 청년의 68.4%는 향후 1년 내 취·창업을 희망하고 있으며, 향후 쉬었음을 택한 사유 (중복응답,%) 쉬었음 상태에 대한 불안 정도 (%)
[ 마지막 일자리 ] 기업규모 (%) [ 마지막 일자리 ] 근속기간 (%) 쉬었음을 택한 사유 (중복응답,%) 쉬었음 상태에 대한 불안 정도 (%) 이상의 임금격차 발생, ‘18년 이후 지속 확대 추세
ݒ زೣ
ݒ ਃೣ
ݒ ਃೣ
ݒ زೣ
취업준비에 상당한 시간·노력을 투자할 계획(60.9%) 쉬었음을 지속시키는 요인
ೠ ੌܻ ࠗ
ೠ ੌܻ ࠗ ഃ Ӓۧ ঋ
ഃ Ӓۧ ঋ
Үਭhӝѐߊ
- 절반 이상(52.8%)이 추가로 준비기간을 갖기를 1년 이상 쉬었던 청년 중 현재 취업자와 미취업자 비교 시.
희망하며, 향후
Үਭhӝѐߊ ߣইਓ Ӓۧ ঋ 직종 - 청년
준비기간은 최소 4.0개월~최대 10.2개월 - ①과거 일자리가 저임금·저숙련·불안정할수록, ②일경험이 없을수록,
Ӓۧ ঋ
ߣইਓ
ਃ೧ࢲ Ӓۧ 취업자 수 ’18년 이후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와 사무종사자 직종의
③미취업 기간이 길어질수록 쉬었음에 머무는 비중이 높음
- 주로 직장·조직에 소속되어 정기적으로 근무(69.3%)하기를 원하며, ਃ೧ࢲ Ӓۧ
बܻhन ޙઁ
ࣗӝস ӝস Ѽӝস ӝস ҕҕӝҙ ӝఋ ѐਘ ѐਘ_ ֙_ ֙_ ࢚֙ बܻhन ޙઁ ݒӒۧ 수도권-비수도권 간 격차 심화
직장 선택 시 급여·근무시간(각 4.31점)이 가장 중요
҃۱ജ ળ࠺
ࣗӝস ӝস Ѽӝস ӝস ҕҕӝҙ ӝఋ ѐਘ݅ ѐਘ_ ֙݅ ֙_ ֙݅ ֙_ ֙݅ ࢚֙ * 일경험 여부에 따른 현재 취업자 비중: (일경험 無) 3.1% vs (일경험 有) 42.4%
࢚ࣗҕੋ
ݒӒۧ
࢚ࣗҕੋ ݅ ֙݅ ֙݅ ֙݅ ҃۱ജ ળ࠺ - 특히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중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에서의 취업자 직업계고 청년
- 일반 청년들보다 실제 직무가 자신의 적성·흥미나 입사 당시 희망했던 * 쉬었음 기간에 따른 현재 취업자 비중: (1년 미만) 41.3% vs (1년 이상) 10.9% ݅ݺ
수에서 지역격차*가 크게 나타남
삶에서 일이 갖는 중요도 (%) 향후 상향이직 가능성 (%) *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취업자 수(’20): 수도권 164천명 vs 비수도권
삶에서 일이 갖는 중요도 (%) 향후 상향이직 가능성 (%) 일경험과 현 취업상태 쉬었음 기간과 현 취업상태
일경험과 현 취업상태 쉬었음 기간과 현 취업상태 26천명
ഃ ਃೞ ঋ ഃ زೞ ঋ
ഃ ਃೞ ঋ ഃ زೞ ঋ ੌ҃ হ ੌ҃ ֙ ݅ ֙ ࢚ 임금 ’18년 이후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의 임금격차는 증가, 기능원 및
ਃೞ ঋ زೞ ঋ ੌ҃ হ ੌ҃ ֙ ݅ ֙ ࢚
ਃೞ ঋ زೞ ঋ 관련 기능 종사자의 비수도권 임금수준은 상대적으로 하락
ࠁా ࠁా
ࠁా ࠁా ஂস ஂস ஂস ஂস ஂস ஂস ஂস
ਃೣ زೣ ஂস
ਃೣ زೣ
ݒ ਃೣ ݒ زೣ
ݒ ਃೣ ݒ زೣ Korea Labor Institute (KLI)
6 7